국내여행

동궐(창덕궁 창경궁) 답사1 - 창덕궁에 머문 발걸음

치악산지기 2014. 11. 7. 09:57

동궐(창덕궁 창경궁) 답사 1

- 창덕궁에 머문 발걸음-

 

 

 

 

공공도서관 길위의 인문학’ 사업으로 문막교육도서관에서 실시한 <제5차 그대 발걸음 궁(宮)안에 머물다>를

   주제로  창덕궁과 창경궁 탐방을 가게 되었다.

   올 들어 세 번째, 마지막 탐방이라 이미 익숙한 반가운 얼굴들과 인사를 나누고, 버스출발에 앞서 간식과 명찰도

   척척 알아서 찾아주는 손길이 재다. 차창 밖으로 스쳐가는 넓은 들을 뒤로하며 붉은 빛깔의 산들이 점점이 다가와

   깊어가는 가을에 궁으로 가는 마음이 설레였다. 궁궐을 안내하실 우리궁궐지킴이 이향우선생님의 궁궐에 대한

  지난 주 2시간 강의로 내마음을 흔들어 놓으셔서, 오늘 햇살 좋은 가을날, 창덕궁 창경궁은 얼마나 아름다웠던지

  조선시대 슬픈 역사를 반추하며 가슴이 아리기도 한 날이였다.

 

 

 

1. 일       시 : 2014년 11월 4일 (화) 08:35~18:10  

 

2. 인       원 : 41명,  문막도서관 관계자 3명

 

3. 탐방장소 : 창덕궁 창경궁

 

4. 진      행 : 이향우(우리궁월지킴이)

 

5. 일      정

 

   문막읍사무소출발(08:35) - 창덕궁 돈화문(10:10) - 창덕궁 세계문화유산 표지석(10:22) - 금천교(10:25) -

 

   진선문(10:29) - 인정문(10:33) - 인정전(10:36) - 희정당 앞마당(11:04) - 선정문(11:10) - 장고와 보경당터(11:19) -

 

   희정당(11:22) - 대조전(11:27) - 수라간(11:33) - 대조전 뒤뜰(11:39) - 보춘정 희우루(11:51) - 낙선재(12:02)

 

  낙선재 뒤뜰(12:19) - 석복헌(12:28) - 수강재(12:33) - 돈화문(12:41) - 점심식사(13:00~ 13:40) - 돈화문(13:45)

 

  창덕궁 세계문화유산 표지석(13:50) - 내각(13:52) - 검서청(13:55) - 규장각(13:59) - 금천교(14:00) - 책고(14:01)

 

  구선원전(14:08) - 양지당(14:12) - 약방(14:20) - 창경궁 함양문(14:25) - 자경전(14:31) - 풍기대(14:36) -

 

  성종태실(14:40) - 칠층석탑/춘당지(14:45) - 대온실(14:52) - 옥천교 (15:10) - 명정문(15:12) - 명정전(15:14)-

 

 문정전(15:26) - 함인정(15:37) - 경춘전/통명전(15:50) - 선인문 안 회화나무(16:02) - 옥천교(16:05) - 홍화문(16:05) -

 

 버스탑승(16:10) - 문막읍사무소 도착(18:10)

 

 

 

 

 

6. 답사기 

 

 

8시35분에 출발한 버스는 10시10분에 창덕궁주차장에 도착하여 이향우선생님과 드디어

조선왕조 두 번째 궁궐인 창덕궁의 정문 돈화문으로 들어선다. 

태종때 이궁으로 창건하여 임란후 270여년동안 정궁으로 사용된 궁이다.

 

 

 

 

 

 

 

 

 

 

지붕위의 잡상

 

 

 

 

 

 

 

 

입구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창덕궁 표지석이 반갑다.

자연 경관을 배경으로 한 건축과 조경의 예술적 가치가 뛰어나

197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는 표지석의 설명이다.

 

 

 

 

 

 

 

 

금천교 건너 진선문이 보인다.

 

                                                                                                                                                                                                                                                                                                    

 

 

 

 

 

 

 

 

 

 

 

금천교 다리 아래의 거북

 

 

 

 

 

 

 

 

 

 

금천교에서 바라본 물길위의 궐내각사

 

 

 

 

 

 

 

 

 

 

 

궐내각사

 

 

 

 

 

 

 

 

금천교 다리 위에 세운 장난기가 묻어나는  동물조각이 궁으로 들어오는 사람들의 마음을 포근히 감싸주는 듯하다.

 

 

 

 

 

 

 

 

진선문안의 삼도(가운데 길은 왕이 다니시는 어도, 동쪽 길은 문반, 서쪽 길은 무반의 길)에는 인파로 넘친다.  

 

 

 

 

 

 

 

 

 

기와의 선들이 장엄하다.

 

 

 

 

 

 

 

 

 

 

 

인정문에 들어서니

 

 

 

 

 

 

 

 

 

박석이 깔린 너른 마당에 창덕궁 정전인 이층 팔작지붕의 인정전이 우뚝 서 있다.

왕의 즉위식, 세자 책봉식, 가례, 외국사신접견등 국가 공식 행사를 치르던 곳인 만큼

장엄한 위엄이 분위기를 압도한다.

앗, 그런데 자붕의 용마루에는 다섯 꽃잎 이화문장이 붙어있다.

순종께서 1907년 창덕궁으로 이어할 무렵 인정전을 수리하면서 용마루에 설치했다고 추정하는 데,

일본의 냄새가 풍겨 왠지 씁쓸하다.

 

 

 

 

 

 

 

 

 

 

 

 

정조 때 세운 품계석

 

 

 

 

 

 

 

 

 

인정전 월대에서 인정문을 향해 내려다 본다.

삼도 좌우에 백관복을 차려입은 문무 대신들이 각자의 품계석에서 허리를 조아려 임금께 조하드리는 모습이 스쳐간다.

 

 

 

 

 

 

 

 

정3품 품계석 근처의 고리에는 햇빛 가리개용 차일 끈을 잡아 묶었단다.

그러니까 정3품까지만 차일이 쳐저 햇빛을 가릴 수 있었다는~  

 

 

 

 

 

 

 

삼도의 끝은 월대의 계단으로 연결되고

 

 

 

 

 

 

 

 

 

 

 

 

 

 

 

 

 

계단 중앙 답도에 조각된 봉황새 한 쌍은 태평성대를 염원하는 군왕과

성군을 염원하는 백성들의 소망이 들어있어 절로 고개 숙여진다.

 

 

 

 

 

 

 

 

 

 

 

 

 

 

 인정전 월대 위의 드므 안에는 물이 채워져서 화재가 났을 때 사용하는 소방기구다.

 

 

 

 

 

 

 

 

 

 

 

 

 

 

 

 

 

 인정전 내부 일월오봉병이 둘러진 용상위에 홍룡포에 익선관을 쓰신 어질고 근엄한 군왕의 모습을 상상해 본다.

 

 

 

 

 

 

 

 

 

 

 

 

 

 

 

 

 

 

인정전 우측 청기와 건물인 선정전이 있는 곳의 기와선이 아름답다.

 

 

 

 

 

 

 

 

 

 

 

 

 

 

 

 

 희정당  앞마당을 거쳐

 

 

 

 

 

 

 

 

 

 

 

 

 

 

 

 

 

 

 

 

 선정문을 통해

 

 

 

 

 

 

 

 

 

 

 

 

 

 

 

 

 

 

중앙을 가로지르는 행랑인 천랑을 지나

 

 

 

 

 

 

 

 

 

 

 

 

 

 

 

 

왕의 집무 공간인 선정전을 들여다 보고

 

 

 

 

 

 

 

 

 

 

 

 

 

 

 

 

 

잠시 지붕선을 감상하고

 

 

 

 

 

 

 

 

 

 

 

 

 

 

 

 

 

 

 

 

 

 

숙종의 후궁 숙빈 최씨 처소였던 보경당이 있던 터에서 잠시 걸음을 멈춘다.

누비바느질이 가장 힘들었다는 어머니 숙빈 최씨의 말씀에 평생 누비옷을 걸치지 않았다는

영조 임금의 탄생지이기도 한 곳이다.

 

 

 

 

 

 

 

 

 

 

 

 

 

 

 

 

 

 

 

 

 

 희정단 지붕의 합각 '녕'

이 건물은 경복궁의 강녕전을 뜯어 옮겨 지은 집이란다.

 

 

 

 

 

 

 

 

 

 

 

 

 

 

 

 

 

 

 

 

 

희정당 내부

 

 

 

 

 

 

 

 

 

 

 

 

 

 

 

 

 

 

 

 

 

 

 

 

 

 

 

 

 

 

 

 

 

 

 

 

 

 

 

 

희정당과 대조전을 연결해주는 행각

 

 

 

 

 

 

 

 

 

 

 

 

 

 

 

 

 

 

 

 

 왕비의 침전으로 갑니다.

 

 

 

 

 

 

 

 

 

 

 

 

 

용마루가 없는 대조전은 복도의 행각이 아기자기 아름답다.

 

 

 

 

 

 

 

 

 

 

 

 

 

 

 

 

 

 

 

 

 

 

 

 

 

 

 

 

 

 

 

 

 

 

 

 

 

 

 

 

 

 

 

 

 

 

 

 

 

 

 

 

 

 

대조전 내부의 의자

 

 

 

 

 

 

 

 

 

 

 

 

 

 

 

 

 

 

 

 

 

 

 

 

 

 

 

 

 

 

 

 

 

 

 

 

 

 

 

 

 

100여년 전에 순종과 윤황후의 식사를 장만하기 이해 지어진 수라간이다.

 

 

 

 

 

 

 

 

 

 

 

 

 

 

 

 

대조전 뒤뜰 화계에 갖가지 꽃이 만발한 향연을 그려본다.

꽃담으로 장식한 굴뚝도 멋스런 조형물이 되고, 굴뚝 꼭대기의 연가에도 고귀함이 묻어난다.

 

 

 

 

 

 

 

 

 

 

 

 

 

 

화계위 담장의 기하학적 무늬도, 후원으로 나가는 문도 아름다움을 더하여

조상님들의 빼어난 조형 감각에 감탄을 금할 수 없다.

분홍꽃이 만발한 봄은 얼마나 화려할지,

눈 덮인 겨울은 얼마나 고귀할지,

오늘에야 춘하추동의 궁궐에 올 소망을 품어본다.

 

 

 

 

 

 

 

 

 

 

 

 

 

 

 

 

 

 

 

 

가장 인상 깊은 공간은 현종때 왕의 사적인 공간으로 지어진 낙선재이다.

 

 

 

 

 

 

 

 

 

 

 

 

 

 

 

 

 

 

 

 

단청을 올리지 않아 오히려 절제된 아름다움이 빛나는 건물이다.

 

 

 

 

 

 

 

 

 

 

 

 

 

 

 

 

 

 

 

 

 

 

 

 

 

 

 

 

 

 

 

 

 

 

 

 

 

 

 

 

 

 

 

 

 

 

 

 

 

 

 

 

 

 

 

 

 

 

 

 

 

 

 

 

 

 

 

 

 

 

 

 

 

 

 

 

 

 

 

 

 

 

 

 

 

 

 

 

 

 

 

 

 

 

 

 

 

 

거북무늬 꽃담이 세련되고

 

 

 

 

 

 

 

 

 

 

 

 

 

 

 

 

 

 

 

 

 

누마루 밑의 빙렬문은 불에 대한 벽사 의미가 있어, 그 뒤에 아궁이가 있다는 이향우선생님의 설명에

답사객들은 탄성을 내지른다.

 

 

 

 

 

 

 

 

 

 

 

 

 

 

 

 

 

 

 

 

 

 

 

 

 

 

 

 

 

 

 

 

 

 

 

 

 

 

 

 

 

 

 

 

 

 

 

 

 

 

 

 

 

 

 

 

 

 

 

 

 

 

 

 

 

 

 

 

 

 

 

 

 

 

 

 

 

 

 

 

 

 

 

 

 

 

 

 

 

 

 

 

 

 

 

 

낙선재의 뒷마당은 대조전 뒤뜰의 화계처럼 꽃담과 굴뚝의 조형성이 뛰어나다.

 

 

 

 

 

 

 

 

 

 

 

 

 

 

 

 

 

 

 

 

 

 

 

 

 

 

 

 

 

 

 

 

 

순화궁 경빈 김씨에 대한 사랑으로 지어진 소박한 석복헌

 

 

 

 

 

 

 

 

 

 

 

 

 

 

 

 

 

 

복도난간 장식인 호리병이 이채롭고 아름답다.

 

 

 

 

 

 

 

 

 

 

 

 

 

 

 

 

 

 

 

 

 

 

 

 

 

 

 

 

 

 

 

 

 

 

 

 

 

 

헌종의 할머니인 대왕대비 순원왕후(순조비) 김씨의 처소로 사용된 수강재

 

 

 

 

 

 

 

 

 

 

 

 

 

 

 

 

 

 

궁안에서는 일체의 음식물을 먹을 수 없기에 다시 돈화문 안쪽의 회화나무를 지나

돈화문 밖의 식당가에서 점심식사를 합니다.

 

 

 

 

 

 

 

 

 

 

 

 

 

 

 

 

 

 

 

 

 

궁밖의 어는 식당 꼭대기에서 ... 

 

 

 

 

 

 

 

 

 

 

 

점심 식사 후 다시 돈화문으로 들어가 직진하여 금호문 담장안 관리들의 관청인 궐내각사로 들어갑니다.

               

 

 

 

 

 

 

 

 

 

 

 

 

궐내각사

 

 

 

 

 

 

 

 

 

 

 

 

 

 

 

 

 

규장각 검서들이 입직을 서던 검서청에 서얼출신 책벌레 이덕무가 근무했다니 무척이나 반갑다.

박제가 유득공 이덕무를 등용한 정조임금의 안목이 드높다.

 

 

 

 

 

 

 

 

 

 

 

 

 

 

 

 

정조6년 강화도에 왕실 관련 서적을 보관할 목적으로 외규장각을 설치하고

원래의 규장각을 내규장각(내각)이라 하고 각각의 규장각에 서적을 나누어 보관하였다.

 

 

 

 

 

 

 

 

 

 

 

 

 

 

'병인양요 당시 프랑스가 외규장각 도서를 약탈하여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소장했던 것을

고 박병선 박사(파리국립도서관 사서로 재직)가 찾아내어 프랑스 정부로 부터 대부분을 환수받게 되었다'는 

우리궁궐지킴이 이향우선행님의 열정적인 설명

 

 

 

 

 

 

 

 

 

 

 

 

 

 

아름다운 지붕선

 

 

 

 

 

 

 

 

 

 

 

 

 

 

 

 

 

 

 

 

 

 

 

 

 

 

 

 

 

 

 

 

 

 

 

 

 

 

 

 

 

 

 

 

 

 

 

 

 

 

명이 망한 후에 명의 황제를 제사 지냈던 구선원전

 

 

 

 

 

 

 

 

 

 

 

 

 

 

구선원전 섬돌위에 앉아 이향우선생님으로부터 인조의 삼전도치욕을 듣는 내내 다리는 편하지만 가슴은 먹먹한 ~~~

 

 

 

 

 

 

 

 

다시 진선문을 통해 함양문으로 드디어 창경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