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

속리산 법주사(정지용문학관 - 육영수여사 생가 - 속리산 법주사)

치악산지기 2014. 11. 29. 22:04

속리산 법주사

(정지용문학관 - 육영수여사 생가 - 속리산 법주사) 

 

 

 

 

문막 도서관에서 실시한 답사여행으로 속리산 법주사를 다녀왔다.

 

해설사 없이 각자 마음 닫는대로 무한 자유를 여기저기 맘껏 누리며 

 

 18년 만에 다시 찾은 법주사지만 처음 보는 듯한 마애여래좌상이 인상깊었다.  

 

 

 

 

 

 

 

 

 

1. 일시 : 1014년 11월 25일 화요일 흐림

 

 2. 인원 : 답사자 40명, 문막도서관 직원 2명

 

 3. 코스 : 정지용 문학관 - 육영수여사 생가 - 속리산 법주사

 

   08:35 문막읍사무소 출발

 

   10:35 정지용문학관 도착

 

   11:25 육영수여사 생가 도착

 

   12:40 점심/법주사 입구 식당

 

   13:40 탐방지원센터

 

   13:45 법주사

 

   16:00 법주사 주차장 출발

 

   18:00 문막 도착

 

 

 

 

 

 

시인 정지용(1902 ~ ?)

 

1902년 음력 5월 15일 출생 옥천 공립보통학교와 서울 휘문고등보통학교,  일본 동지사대학 영문과를 졸업

 

 모교인 휘문고보 영어교사로 재직, 1945년 이화여자전문학교 교수, 경향신문사 주간 역임

 

천재적인 기질과 소박한 인품으로 향수, 고향, 백록담등 주옥같은 명시를 연이어 발표

 

문장지를 통하여 청록파시인(박두진 박목월 조지훈)을 문단에 등단시키는 등 현대 시문학의 선구자

 

 

 

 

 

 

 

시인 정지용 생가터

 

 

 

 

 

 

 

 

 

 

 사철 발벗은 아내가 달려나올 것만 같은   

 

 

 

 

 

 

 

 

 

 

 

 

 향수 문학비

 

 

 

 

 

 

 

 

 

 

 

 

 정지용 시인의 향수가 들리는 듯~

 

 

 

 

 

 

 

 

 

 

 

 

 

 

 

 

 

 

 

 

 

 

 호롱불 아래에서 어떤 글을 쓰셨을까  

 

 

 

 

 

 

 

 

 

 

 

 

 

 

 

 

 

 

 

 

 

 

 

 

 

 

 

시인 정지용 동상

 

 

 

 

 

 

 

 

 

 

 

 

 

정지용 문학관

 

 

 

 

 

 

 

 

 

 

 

 

 

 

 

 

 

 

 

 

 

 

 

 

 

 

 

 

 

 

 

 

 

 

 

 

 

 

 

 

 

 

 

 

 

 

 

 

 

 

 

 

 

 

 

 

 

 

 

 

 

 

 

 

 

 

 

 

 

 

 

 

 

 

 

 

 

 

 

 

 

 

 

 

 

 

정지용 문학관에서 육영수여사 생가로 가는 길에 있는 보호수 느티나무

 

 수령 370년, 수고 16m, 나무둘레 5.2m

 

 춘기에 잎이 많이 피면 풍년, 잎이 적게 피면 가뭄,  그리하여 매년 풍년을 기원하는 대보름제가 열린다는~

 

 

 

 

 

 

 

 

 

 

 

 

육영수여사 생가

 

충북 옥천군 옥천읍 향수길110(교동리 313)에 위치한 이곳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부인인

 

육영수여사가 1924년 11월 29일 태어나 어린시절을 보냈던 곳으로 교동집은 조선초기 삼정승이 살았던 집이란다.

 

 

 

 

 

 

 

 

 

 

 

 

 

 

 

 

 

 

 

 

 

 

 

 

 

 

 

 

 

 

 

 

 

 

 

 

 

 

 

 

 

 

 

 

 

 

 

 

 

 

 

 

 

 

 

 

 

 

 

 

 

 

 

 

 

 

 

 

 

 

 

 

 

 

 

 

 

 

 

 

 

 

 

 

 

 

 

 

 

 

 

 

 

 

 

 

 

 

 

 

육영수여사가 쓰던 방

 

 

 

 

 

 

 

 

 

 

 

 

 

 

 

 

 

 

 

 

 

 

 

 

 

 

 

 

 

 

 

 

 

 

 

 

 

 

 

 

 

 

 

 

 

 

 

 

 

 

 

 

 

 

 

 1398년에 창건된 옥천향교

 

향교가 있는 유서깊은 교동 마을에서 태어나셨구나

 

 

 

 

 

 

 

 

조선시대 옥천군을 다스렸던 군수 및 관찰사 등의 선정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군(옥천 교동리)

 

 

 

 

 

 

 

 

 

법주사 입구 상가

 

 

 

 

 

 

 

 

 

 

 

 

 

 

바위가 웅장한 속리산줄기  

 

 

 

 

 

 

 

 

 

 

 

 

 

 

 

 

 

 

 

 

 

 

 

 

 

 

 

 

 

 

 

 

겨우살이

 

 

 

 

 

 

 

 

 

 

 

 

 

 

 

 

 

 

 

 

 

 

 

법주사에 가면 꼬~옥 시원한 물맛을  ...

 

 

 

 

 

 

 

호서 제일 가람  법주사의 일주문

 

 

 

 

 

 

 

 

 

 

 

 

 

 

 

속리산 법주사

 

사적 제503호.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의 본사

 

553년(진흥왕 14)에 의신(義信) 조사가 창건

 

법주사 절 이름은 의신이 서역으로부터 불경을 나귀에 싣고 돌아와 이곳에 머물렀다는 설화에서 유래

 

776년(혜공왕 12)에 금산사를 창건한 진표(眞表)가 중창, 그의 제자 영심(永深) 등에 의해 미륵신앙  중심도량이 됨

 

임진왜란으로 모든 전각이 소실된 것을 1624년(인조 2)에 벽암(碧巖)이 중창

 

 

 

 

 

 

 

 

 

 

 

 

 

 

 

 

 

보은 속리산 사실 기비

1666년 현종 7년에 세운 비석으로 높이 163cm 너비 65cm로 우암 송시열이 짓고 동춘당 송준길이 쓴것으로  

속리산이 명산임과 세조가 이곳에 행차한 사실 등을 적고있다.

 

 

 

 

 

 

 

 

 

 

 

 

 

 

 

 

 

 

 

 

 

 

 

 

 

 

 

 

벽암대사비

법주사를 크게 중창한 조선시대 중기 벽암대사의 행적을 기술 비

 

 

벽암대사(1575 ~ 1660)는

조선중기 대표 선승으로 임진 왜란때 해전에 참여한 승병장

인조2년 1624년 남한산성을 쌓을 때 8도 도총섭에 임명되어 승군을 이끌고 3년만에 완성

인조14년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승군 3천명(항마군)을 이끌고 남한산성으로 향하던 중

전쟁이 끝나 항마군을 해산하고 지리산으로 들어감  

 

 

 

 

 

 

 

 

 

 

 

 

 

 

 

 

 

 

 법주사 당간지주

 

 

 

 

 

 

 

국보 제 64호 석련지

신라 성덕왕19년 720년 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

높이 195cm 둘레 665cm의 희귀 석조조형물로 연꽃이 둥둥 뜬 듯한 모습을 표현한 걸작품

 

 

 

 

 

 

 

 

마애여래좌상

고려시대 대표적인 마애불로 높이 약 6m나 되는 큼직한 바위에 볼록 새겨짐

 

 

 

 

 

 

 

 

 

 

 

 

 

 

 

 

 

 

 

 

 

 

 

 

 

 

 

 

 

 

 

 

 

 

 

 

 

 

 

 

 

 

 

 

 

 

 

 

 

 

 

 

 

 

 

 

 

 

 

 

 

 

 

 

 

 

 

 

 

 

 

 

 

 

 

 

 

법주사 공양간 근처에 있었던 철솥

높이 1.2m, 지름 2.7m, 둘레 10.8m, 두께 10cm, 무게 10t

큰 사발형상의 철솥은 쌀 40가마를 담을 수 있는 규모로

법주사가 한청 번성하여 3,000승녀가 운집하여 있을 때 장솥으로 사용했다는~

 

 

 

 

 

 

 

 

 

 

 

 

 

 

 

 

 

 

 

 

 

 

 

 

 

 

 

 

 

 

국보 제 55호 팔상전

신라 진흥왕 14년 553년에 처음 건립

임진왜한때 불에 타 인조 4년 1626년에 다시 지을 때 사명대사가 주관함

5층 목조탑으로 내부에 석가여래의 일생을 8장면의 그림으로 나타낸 팔상도가 모셔져 있음

 

 

 

 

 

 

 

 

 

 

 

 

 

 

 

 

 

 

 

 

 

 

 

 

 

 

 

 

 

 

 

 

 

 

 

 

 

 

 

 

 

 

 

 

 

 

 

 

 

 

 

 

 

국보 제 5호 쌍사자 석등

신라 석등 중 뛰어난 작품 중의 하나로 성덕왕 19년 720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

높이 3.3m로 널따란 8각의 바닥돌 위에 사자 조각이 올려져 있음 

 

 

 

 

 

 

 

 

 

 

 

 

 

 

 

 

 

 

 

 

 

 

 

 

 

 

 

 

 

 

 

 

 

 

 

 

 

 

 

 

 

 

 

 

 

 

 

 

 

 

 

 

 

 

 

 

 

 

 

 

 

 

 

 

 

석조희견보살입상

전체높이 213cm 규모로 신체, 공양물, 대좌의 3부분으로 구성

자연 암반으로 이루어진 지대석위에 네모반듯한 모양의 받침돌을

그 위로 중심부에 행당하는 몸통을 고정

쌍사자석등과 동일한 시기인 720년 전후의 작품으로 추정

 

 

 

 

 

 

 

 

 

 

 

 

 

 

 

 

 

 

 

 

 

 

 

 

 

 

 

 

 

 

 

 

 

 

 

 

 

 

 

동양 최대 청동 미륵대불은 공사중~

 

 

 

 

 

 

 

 

 

 

 

 

 

 

 

 

 

 

 

 

 

 

 

 

 

 

 

 

 

 

 

 

 

 

 

 

 

 

 

 

 

 

 

 

 

 

 

 

 

 

 

 

 

 

 

 

 

 

 

 

천왕문 앞의 쌍둥이 전나무가 아름답네요

 

보은의 달달한 생대추(5,000원)

달달하고 빠삭한 대추과자(10,000원)

그리고 달콤한 단감(5,000원)을 사느라 모이는 시간에 제일 늦게 도착한 실수를~

 

답사팀을 즐겁게 인솔하신 관장님과 이현주님께 깊은 감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