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

경복궁

치악산지기 2015. 1. 21. 23:41

경복궁

 

 

공공도서관 길위의 인문학’ 사업으로 문막교육도서관에서 실시한 동궐(창덕궁과 창경궁)탐방에 참여한 후,

 

  이향우 선생님의 경복궁을 읽고,  2014년이 가기전 경복궁 답사를 다짐했는 데, 드디어 오늘

 

1395년 조선왕조가 한양에 세운 다섯 궁궐 중 최초의 궁궐인 경복궁으로 들어선다. 

 

  예당의 '인상파 고향 노르망디' 전시회와 오후 5시 서울시향 공연관람으로

 

   오늘 경복궁은 겨울 맛봬기다. 꽃피는 새 봄에 다시 오마 기약하며~ 

 

 

1. 일       시 : 2014년 12월 21일 (일) 12:30~14:00  나홀로 

  

2. 답사코스

 

   광화문 - 흥례문 - 영제교 - 근정문 - 근정전 - 사정문 - 사정전 - 강녕전 - 연생전 -

  

   어정 - 흠경각 - 교태전 - 후원 - 자경전 - 자경전의 십장생 굴뚝 - 경회루

 

  

 

광화문

경복궁의 동서남북 4개의 문(동은 건춘문, 서는 영추문, 북은 신무문) 중 남문이며 정문이다.

 

 

 

 

 

 

 

 

 

 

 2014년 12월 4일의 광화문

 

 

 

 

 

 

 

광화문 천장에 그려진 방위신 주작

 

 

 

 

 

 

 

 

 

추운 겨울 수문장의 위엄

 

 

 

 

 

 

 

뒤돌아본 세종로

 

 

 

 

 

 

 

 

 

 

 

광화문으로 들어오면 경복궁의 두 번째 남문인 흥례문이 있고

 

 

 

 

 

 

 

 

 

 

흥례문에서 바라본 근정문

 

 

 

 

 

 

 

 

 

 

흥례문 계단 가운데의 답도

 

 

 

 

 

 

 

흥례문 계단의 해태

 

 

 

 

 

 

 

 

 

 

 

 

 

흥례문을 들어서 궁안으로 들어가기 전, 영제천위의 영제교를 건너고

영제교 기둥에는 여의주를 움켜쥔 용이 주위를 경계하고 있다.

 

 

 

 

 

 

 

물길을 타고 궁으로 진입하는 나쁜 기운을 경계하는, 벽사의 능력을 지닌 천록(상상의 동물)

 

 

 

 

 

 

 

몸에 비늘이 덮여있고 외뿔이 달린 귀여운 천록  

 

 

 

 

 

 

 

 

근정문은 경복궁의 세 번째 남문으로 왕과 신하가 만나는 조참 행사를 하던 곳이다.  

 

 

 

 

 

 

 

 

근정문 안으로 들어서면 근정전

 

 

 

 

 

 

 

 

 

근정전은 정도전이 지어올린 이름 

 

 

 

 

 

 

 

 

이곳에서 국가의 공식행사인 즉위식, 신년하례식, 세자책봉례, 가례, 외국 사신 접견, 조례가~

 

 

 

 

 

 

 

 

 

월대 기둥위의 해태

 

 

 

 

 

 

 

근정전 월대의 12지신 중의 하나인 말

 

 

 

 

 

 

 

 

 

12지신 중의 닭

 

 

 

 

 

 

 

 

 

근정전에서 근정문 쪽으로 뒤돌아본 근정전 조정 마당의 가운데 어도와 좌우의 품계석 

 

 

 

 

 

 

근정전 내부의 용상

 

 

 

 

 

 

 

 

무소불위의 왕권을 상징하는 근정전 천장 한가운데 있는 일곱개의 발톱을 가진 칠조룡의 쌍룡

 

 

 

 

 

 

 

 

 

 

 

 

 

 

 

 

 

 

 

 

 

 

 

 

 

 

 

 

 

 

 

 

 

 

 

사정문을 지나

 

 

 

 

 

 

 

 

왕의 집무실인 사정전으로

 

 

 

 

 

 

 

 

 

사정전 내부의 어좌와 그 뒤에 일월오봉병(일월오악도), 그 위에 걸린 운룡도

 

 

 

 

 

 

 

운룡도

 

 

 

 

 

 

 

일월오봉병(일월오악도)

 

 

 

 

 

 

 

 

 

 

 

 

 

 

 

 

 

 

 

 

 

 

 

 

 

 

 

 

 

 

 

사정전 앞에는 세종 때 장영실이 만든  해시계 앙부일구가 설치되어 있다.

 

 

 

 

 

 

 

 

 

 

 

 

 

 

 

 

 

 

 

 

 

 

 

 

 

 

 

 

 

 

 

 

 

 

 

 

 

 

 

 

 

 

 

 

 

향오문 지난 강령전으로

 

 

 

 

 

 

 

 

지붕에 용마루가 없는 무량각 지붕인 강녕전은

왕의 사적인 생활공간으로 일상생활을 하며 침전으로 사용하는 곳으로 업무공간으로 확장하여 쓰기도 했다.

 

 

 

 

 

 

강녕전의 동소침인 연생전이 보이고

 

 

 

 

 

 

 

 

 

 

 

 

 

 

 

 

 

강녕전 처마 밑에 새들이 깃을 틀어 단청을 더럽히는 것을 막기 위해 씌운 그물망(부시)

 

 

 

 

 

 

 

 

 

 

 

 

 

 

 

 

 

 

 

 

 

 

 

 

 

 

강녕전 서쪽의 경정전을 돌아가면 어정(우물)이 나오고

 

 

 

 

 

 

 

흠경각은 원래 세종때에 천추전의 서쪽에 옥루와 천문을 관측하는 선기옥형을 설치했던 건물로

왕이 때를 맞춰 천문을 관찰하고 역법을 이용하여 절서를 밝혀 제왕의 정사를 펼칠 수 있도록 하였다.  

 

 

 

 

 

 

 

 

 

 

 

 

 

 

 

 

 

 

함형문을 지난 교태전(왕비의 침전)의 뒤편 후원으로~

 

 

 

 

 

 

 

 

 

 

 

 

 

 

 

 

 

 

 

 

 

 

 

 

 

 

 

 

 

 

 

 

 

 

 

 

 

 

 

 

 

 

 

 

 

 

 

 

 

후원의 아미산

 

 

 

 

 

 

 

아미산 굴뚝

 

 

 

 

 

 

 

 

 

 

 

 

 

 

 

 

 

 

 

 

 

 

 

 

 

 

 

 

 

 

 

 

 

 

 

 

 

 

 

 

 

 

 

 

 

 

 

 

 

 

 

 

 

 

 

 

 

 

 

건순문을 지나 왕비의 산실인 건순각으로

 

 

 

 

 

 

 

 

 

 

 

 

 

 

 

 

 

 

 

 

건순각 뒤편의 꽃담과 굴뚝

 

 

 

 

 

 

 

 

 

 

 

 

 

 

 

 

 

 

 

 

 

 

 

 

 

연휘문을 나서면

 

 

 

 

 

 

꽃담이 아름다운 자경전이 있다.

 

 

 

 

 

 

 

 

 

 

 

 

 

 

 

 

 

자경전은 고종의 양어머니인 신정황후(순조의 아들 효명제자의 빈) 조대비를 위하여 지은 대비전이다

 

 

 

 

 

 

 

 

 

 

 

 

 

 

 

 

 

 

 

 

 

 

 

 

자경전 북쪽 담장의 십장생 굴뚝(보물 제810호)

 

 

 

 

 

 

 

 

 

 

 

 

 

 

 

 

 

 

 

 

 

 

 

 

 

 

 

 

 

 

 

 

 

 

 

 

 

 

 

 

 

 

 

 

 

 

 

자경전을 나와

 

 

 

 

 

 

 

 

 

 

 강녕전과 교태전 서편에 있는 큰 연회를 베풀던 곳인 경회루

 

 

 

 

 

 

 

 

 

 

 

 

경회루의 입장은 꽃피는 새봄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