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거창군 마리면에서 전북 무주 구천동 입구까지
2016년 3월 29일(화) 맑음 흐림 갬 쌀쌀
1. 코스 : 경북 거창군 마리면에서 37번 국도 따라 빼재(신풍령) 지나 전북 무주군 설천면 덕유리 무주구천동 입구까지
2. 거리/시간 : 30.6km/ 11시간
06:30 거창군 마리면 출발
07:35 ~ 08:00 거창 당산리 600년 당송/담배건조실
08:25 모전마을
09:05 추상면/백암바위
09:50 ~ 11:00 고제면/이른 점심(신토불이)
11:17 고제저수지/손항마을
12:22 개명리 130년 느티나무와 정자
12:50 물안애마을/개명리
13:50 빼재 터널 입구/ 우측 빼재 방향으로
14:30 백두대간 빼재(신풍령,수령)
14:40 전북 무주군 무풍면
15:15 빼재 터널 입구/설천23
15:37 삼오정마을/독가촌마을
15:40 구천동휴게소
16:28 덕유산자연휴양림 입구
17:30 무주구천동입구/무주군 설천면 덕유리
아침 들녘은 피어나는 생동감이 있다. 열녀각과 효자각을 지나고 가엾은 로드킬도 만난다.
멀리서도 멋진 소나무가 눈에 띄어 위천면 당산마을로 들어간다. 남쪽 가지 하나가 죽은 600년 당송은 전체적으로
아름다운 모양을 유지하고 있으며, 나라에 큰 일이 있을 때(1910년 한일합방, 1945년 광복, 1950년 한국전쟁) 마다
"웅~ 웅~ 웅~" 소리를 내어 미리 알려주었던 신령스런 영송이란다. 담배건조실도 주변에 그대로 있어 멋진 풍광이 된다.
말을 걸어주시는 지나가는 마을 노인의 정 깊은 한마디 " 하도 소문나니 듣고 왔제?" " 네 소문듣고 왔어요."
다시 국도로 나와 걷다보니 버스승차장 모양이 사과 모양으로 거창사과를 홍보하고 있다.
돌산을 깎아 반듯반듯한 석재를 가공하느라 조용한 농촌 주변을 울리는 기계음과 먼지가 가득하다. 이러다가 산 하나가
없어지겠지ㅠ ㅠ ㅠ
추상면에 들어서니 좌측 안내판에 백암바위에 대한 안내가 있다.
조선 중기 문신 김식(1482~1520)은 조광조와 제도개혁과 민중교화를 추진하다 기묘사화에 억울하게 연루되어
이 바위 밑에 숨어지내다 손가락을 깨물어 백암이라는 혈서를 쓰고 자결하였단다. 배낭을 내리고 바위를 찾아보니
정자 옆 흰바위 앞면에 백암이란 문구가 새겨져 있다.
고제면에 문을 연 식당이 있어 다리도 쉴겸 이른 점심을 먹는다. 아침에 영업하는 식당을 만나는 자체가 행운이다.
게다가 맛도 있고 wifi도 되고 완전 복이 터졌다. 고제저수지 지나 130세 느티나무가 있는 멋진 정자에서 발을 멈추고
마을분의 자랑을 듣는다. 600고지 물안애 마을 담에 그려넣은 오미자, 사과, 복분자 지도가 예쁘고 정겹다.
이제 길은 서서히 오르막으로 빼재를 향해 휘휘 돌아간다. 산아래 직선터널로 차량은 가버리고 조용하고 한적한 오르막
길을 유유자적 걸어간다. 자유와 기쁨을 누리며 느릿느릿 드디어 덕유산 향적봉과 삼봉산을 잇는 백두대간 추억이
서려있는 빼재(수령, 신풍령)에 도착한다. 드디어 전라북도로 넘어와 이제는 서서히 내리막길이다.
콘도와 팬션 민박집이 줄을 잇는다. 무주구천동 입구에서 숙소를 구하는 데, 팬션과 모텔 민박집은 지금이 비수기라
문을 닫아서 차차 마음이 바빠진다. 주민이 살면서 운영하는 민박집을 두드리니 할머니가 편찮으시다며 아래의 민박집을
소개해주신다. 마지막 순간에 이름도 친근한 네팔민박에 겨우 숙소를 정하고, 흑산도를 향해 가다 들른 프레임의 위로 방문으로
화기애애, 게다가 직접 구운 빵과 과자, 과일 한보따리를 가져와 푸근하고 정 깊은 호사스런 밤을 ~~~
로드킬
600년 당송
밭일 가시는 노부부
고제저수지
개명리 130년 느티나무와 정자
마을표지석
빼재터널
차량은 모두 터널로 가고, 유유자적 가는길에 새소리 정답네
'국토순례(땅끝~고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북 영동군 용화면 조동리에서 황간면까지(3월 31일)14 : 땅끝에서 고성통일전망대까지 (0) | 2016.05.15 |
---|---|
전북 무주군 덕유리에서 충북 영동군 용화면 조동리까지(3월 30일)13 : 땅끝에서 통일전망대까지 (0) | 2016.05.13 |
경남 함양군 함양읍에서 거창군 마리면까지(3월 28일)11 : 땅끝에서 고성통일전망대까지 (0) | 2016.05.12 |
남원시 운봉읍에서 경남 함양군 함양읍까지(3월27일)10 : 땅끝에서 고성통일전망대까지 (0) | 2016.05.11 |
전남 곡성군 장선리에서 전북 남원시 운봉읍까지(3월26일)9 : 땅끝에서 고성통일전망대까지 (0) | 2016.05.09 |